본문 바로가기

일상, 그 소소함/fitness

스케치업 브이레이로 실습중!

 

건축쪽 일을 하다보면

비전문가인 건축주에게 도면만 보여주기엔

공간에 대한 이해를 바라기에 참 힘듭니다.

그러다보니 3d 모델링을 통하여

실제 지어질 건축물의 공간에 대하여

좀더 이해하기 쉽도록 전달하는 것이

좋은 수단인데요.

 

스케치업 모델링은 도면을 기본으로 하여,

3d 입체로 만들어내기는 참 쉽습니다.

또한 스케치업에 연동하는 브이레이라는 것을 통하여

재질이나 빛의 반사값 등으로

좀더 사실적인 표현도 가능합니다.

 

간단하고 쉬우면서도

고난이도의 기술을 요하지 않기에

스케치업과 브이레이를 많이들 이용하는데요.

 

 

 

스케치업은 너무나 쉽지만

브이레이는 값을 주기에 좀 까다로운 부분이 있어서

이번기회에 한번 배워보기로 했죠.

 

그런데 원리를 알고나니 생각보다 너무나 쉬운 것....^^

 

참 쉽게 잘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란 생각이

또한번 듭니다.

 

모델링을 다 하고나서

적절한 재질을 맵핑하는 작업까지는

역시나 쉽게 완료하였습니다.

 

그리고 브이레이 옵션에서

주경, 야경에 따라 적합한 카메라를 설정한 후,

재질편집기를 통하여

맵핑한 재질들에 대하여

하나하나 옵션 설정을 합니다.

 

보통 반사값, 굴절값, 범프값 등을 설정하는데

비스맷(vismat)이라는 것을 적용하여

값을 일일이 손대지 않고도

사실적인 표현이 가능합니다.

 

* 비스맷이란, 재질에 대한 각종 옵션값을 지정하여 저장한 후,

import 하여 다시 옵션값을 지정하지 않고도

그 재질의 표현을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거울표현을 하기 위한 값을 저장한 비스맷파일을

나중에 다른 파일에서 거울표현시에 따로 값을 손대지 않고도

비스맷파일을 불러오면 된다는거죠.

 

 

 

 

그리고 실내를 브이레이로 렌더링하기 위해서는

조명이 필요하겠죠?

조명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태양을 대신하는 옴니라이트, 형광등이나 간접조명을 표현하는 렉탱글 라이트,

국부조명인 스포트 라이트와 IES라이트, 전구표현을 위한 emissive.

ies조명은 여러 종류 중에서 원하는 빛모양의 파일을 불러오면 되고,

조명값은 하나를 설정한 후, 컴퍼넌트로 지정하여 복사하여 쓰게 되면

추후 값수정시 조명 하나하나를 일일이 값수정할 필요가 없이

하나만 값수정을 해도 모두 함께 값이 수정되니 아주 편리합니다.

 

이렇게 해서 본 포스트에 첨부된 이미지들과 같이

렌더링이 되는 것입니다. ^^

 

아직 스케치업 브이레이 실습중이지만,

실무에서도 아주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 같고,

그러기 위하여 열심히 실습하고 연습해야겠죠?